• 최종편집 2025-03-14(금)

뉴스
Home >  뉴스  >  메디컬

실시간뉴스
  • 마리아병원, 난임 시술 안정성과 성공률 높이기 위해 자체 개발 시스템 도입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지난 5년 간 초산 산모는 20~29세가 38.6%, 30~39세는 7.2% 감소한 반면 40세 이상 초산 산모 비율은 24.5%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1]. 초혼 연령 상승과 더불어 초산 연령대도 높아지고 있는 것. 실제로 국내 부부 7쌍 중 1쌍이 난임[2]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난임 치료 환경 구축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국내 난임 전문 병원들은 난임 치료 환경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첨단 기술과 안전 시스템 도입에 힘쓰는 모습이다. 최근 해외에서 생식세포 관리 실수나 배아 혼선 사례가 보고되면서 치료 과정의 신뢰성과 안정성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난임 전문 마리아병원은 환자들의 고민과 걱정을 최소화하기 위한 가디언 시스템 도입 및 환자별 맞춤형 치료를 위한 특화배양액 개발 등을 통해 난임 환자들이 안심하고 찾을 수 있는 치료 환경을 구축했다. 환자들의 우려와 걱정을 줄이기 위한 가디언 시스템(IVF-Guardian) 도입 마리아병원은 생식세포 관리의 안정성을 한층 강화할 수 있도록 국내 최초로 가디언 시스템(IVF-Guardian)을 개발 및 도입했다. 난임 환자들이 고민하고 우려하는 포인트에 주목, 환자의 걱정을 덜고 심리적 안정감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 시스템은 손등 혈관 인식 기술을 활용해 시술 전에 손등 혈관을 확인하고 바코드 팔찌를 발급해 환자와 배우자 모두 본인임을 생체 인증한다. 환자 이름으로 만든 바코드 팔찌에 생체 인증을 한 단계 더한 것. 또 시술 과정에서 오류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정교하게 환자를 식별하고 시술 단계마다 생식세포와 배아를 대조·검증하는 다중 확인 프로세스를 거친다. 마리아병원은 안전하고 정확한 생식세포 관리 시스템은 난임 치료의 신뢰를 강화하는 핵심 요소라며, 환자와 의료진 모두가 안심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35세 이상 난임 환자들의 맞춤형 치료를 위한 자체 특화배양액 개발 30대 중·후반 여성은 난소 기능 저하와 호르몬 변화가 두드러지므로 난임 치료에서도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 기존 배양액은 모든 연령대에 동일하게 적용돼 왔지만, 35세 이상 환자의 대사 속도와 산화 스트레스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다. 배아 배양 과정에서 사용하는 배양액은 임신 성공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연령별 맞춤 배양액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리아병원은 35세 이상 환자의 효과적인 치료를 돕기 위해 노화 방지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레스베라트롤을 활용한 맞춤형 배양액을 개발했다. 레스베라트롤은 세포 손상을 방지하고 염증을 완화해 배아 발달을 돕는 물질로, 연구 결과 고령 환자의 배아 발달률과 착상률을 유의미하게 개선하는 효과를 보인 바 있다[3][4]. 이러한 자체 개발 배양액을 30대 후반의 환자들에게 적용함으로써 착상률을 기존 대비 18% 향상시켰다[5]. 이는 환자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으로 자리잡으며 난소 기능이 저하된 환자들의 임신 성공률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한편 높은 임신성공률로 최근 시술 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동결배아이식 시술의 경우 생식세포 냉동 보존력이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이에 마리아병원은 생식세포의 동결 및 해동 과정에서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존 용기의 한계를 보완한 독자적인 보관 용기를 자체 개발하고, 환자들의 불안감 해소 및 생식세포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했다. 지난 2024년 난임 인구가 25만 명을 돌파[6]하며 ‘난임’이 점차 중요한 의료 이슈로 자리 잡고 있는 만큼 환자 중심의 의료 기술 및 시스템 도입이 필수적이다. 환자 개개인의 심리적·신체적 상황을 고려한 치료는 물론,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 난임 치료라는 긴 여정에 보다 나은 치료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1] 국민건강보험공단(2023). 최근 5년간 연령별 전체 산모 현황 [2] 국내 난임 발생 표본 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3) [3] Effects of resveratrol,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or dichloroacetic acid in the culture media on embryonic development and pregnancy rates in aged mice, Jeong Yoon, Kyoung-Mi Juhn, Eun-Hye Jung, Hye-Jeong Park, San-Hyun Yoon, Yong Ko, Chang-Young Hur, Jin-Ho Lim (2020) [4] The impact of resveratrol supplementation as antioxidant on embryonic development in older women(over 40years) undergoing IVF, Suji Maria Fertility Hospital, Research center,Maria Medical Foundation, Research center. [5] 마리아병원 자체 통계, 2024년 기준 [6]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3a).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 국민관심질병통계. 원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뉴스
    • 메디컬
    2025-02-25
  • 대웅제약-디엔씨, 딥 심포지엄 개최… 2030 맞춤형 미용성형 복합 시술법 제시
    [웰니스투데이 이우식 기자] 대웅제약과 디엔씨가 국내 의료진들을 대상으로 20·30대 고객 니즈를 고려한 미용 의료 복합 시술 트렌드와 실질적인 가이드를 제시했다. 대웅제약(대표 박성수·이창재)과 디엔씨(대표이사 유현승)는 8일부터 2일간 서울 콘래드 호텔에서 ‘딥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국내 미용성형 의료진 90여 명이 참석했으며 실습과 강의를 결합한 현장감 있는 학습 프로그램이 다수 운영됐다. 딥(DEEP, Daewoong Medical-AEsthetic Expert Program) 심포지엄은 대웅제약의 메디컬 에스테틱 노하우를 집약해 만든 교육 프로그램으로, 국내외 미용 의료 전문가들을 초청해 현장에서 바로 응용 가능한 수준의 깊이 있는 강의와 실습은 물론 의료진 간 견해를 공유하는 학술 교류 등이 진행된다. 특히, 올해는 ‘연령대별 맞춤형 에스테틱(Age-Centric Aesthetics: Customized Solutions for Every Decade)’을 주제로 총 5회에 걸쳐 20대부터 60대까지 각 연령대별 선호 시술법과 특징 등을 집중 탐구하는 행사가 순차적으로 열린다. 각 주제별로 대웅제약과 디엔씨의 5가지 파이프라인을 활용한 복합시술로 환자의 만족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방법도 소개할 예정이다. 총 5회 프로그램 중 첫번째로 진행된 이번 딥 심포지엄에서는 20·30대 고객들의 △시술 시 고려해야 할 해부학적 구조 △컨투어링·볼류마이징 목적에 따른 제품별 시술 방법 △선호하는 시술 부위 등을 분석하고 소비자들의 니즈와 특성을 고려한 실전 복합 시술법을 집중 소개했다. 2일차에 진행된 이원 생중계의 경우 실제 환자가 시술을 받고 있는 의료 현장을 연결해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와 지방파괴주사제 브이올렛을 활용한 ‘V-컨투어링’, 히알루론산 필러 봄(VOM)과 칼슘 필러 볼라썸(VOLassom)을 활용한 ‘V-볼류마이징’ 등이 직접 시술되는 모습을 생생하게 중계하고 참석 의료진들에게 현장감 있는 교육 기회를 제공했다. 이외에도 국내 미용전문가들의 강의를 통해 △나보타를 활용한 근육 비대 개선 △브이올렛의 지방 개선 △봄 필러와 볼라썸을 조합한 볼륨 증대 및 피부결 개선 시술법 등이 소개됐으며 봉합사 두스(Dooth)와 스위츠(SWITS)를 피부 모형에 시술하는 핸즈온 실습을 통해 강의로 익힌 시술법에 대해 더욱 심도있게 이해할 수 있는 시간도 마련됐다. ‘연령별 고려해야 할 해부학적 구조의 이해’ 강의를 맡은 한승호 이대서울병원 교수는 “최근 에스테틱 시장은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이 핵심 트렌드”라며 “2030세대의 얼굴, 바디 윤곽 개선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대웅의 제품들은 여러 에스테틱 라인업을 갖춰 젊은 세대들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기에 유리하다. 특히 시술 부위의 해부학적 구조를 이해하면 더욱 개인 맞춤형 시술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피부 모형을 활용한 실리프팅 실습 교육을 진행한 최호성 피어나클리닉 원장은 “환자 개개인의 만족도를 최대한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개인의 연령과 특성을 고려한 복합 시술이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며 “이번 딥 심포지엄의 강의와 핸즈온 세션을 통해 대웅 에스테틱 라인의 다양한 복합시술을 응용할 뿐만 아니라, 평소 부담을 느낄 수 있는 실리프팅 시술에 보다 가까워지면서, 환자들에게 확실한 효과를 제공하고 뚜렷한 윤곽 개선 및 콜라겐 생성 유도로 개선된 피부결을 선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심포지엄에서는 대웅제약과 디엔씨가 판매 및 유통하고 있는 5가지 파이프라인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 △턱밑 지방 개선 주사제 브이올렛 △히알루론산 필러 봄 △봉합사 스위츠, 두스 △칼슘필러 볼라썸의 전시 공간이 마련돼 참석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윤준수 대웅제약 나보타사업본부장은 “미용·성형 전문의분들께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가치 제공을 목표로 진행해왔던 딥 심포지엄을 통해 올해도 에스테틱 최신 트렌드와 혁신 기술을 공유하고 지식과 경험을 나눌 수 있게 돼 기쁘다”며 “이번 행사의 성공 사례를 바탕으로 대웅의 미용성형 복합시술 프로그램을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주요 국가에 공격적으로 전파해 대웅 에스테틱 비즈니스의 글로벌 확장을 가속화하겠다”고 밝혔다. 하창우 디엔씨 에스테틱사업본부장은 “대웅제약과의 협력을 통해 에스테틱 파이프라인의 다양한 복합시술을 바탕으로 깊이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게 돼 뜻깊다”며 “앞으로도 실제 현장에서 응용 가능한 시술법에 중점을 두고 더욱 풍부한 프로그램을 마련해 국내 에스테틱 복합시술 시장 점유율을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국내외 에스테틱 시장의 의료진 교육 트렌드를 선도하는 기업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전했다.
    • 뉴스
    • 메디컬
    2025-02-11
  • 수젠텍 자회사 베스펙스, CES 2025에서 AI 웰니스 혁신상 수상
    베스펙스 정주원 공동대표(왼쪽)가 관람객에게 '시그널링'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체외진단 전문기업 수젠텍의 자회사인 글로벌 펨테크 기업 베스펙스(Vespexx)가 세계 최대 IT·가전 박람회인 ‘CES 2025’에서 AI Wellness 111 혁신상을 수상했다고 10일 밝혔다. 베스펙스는 이번 혁신상 수상으로 커플 간 협업 도구와 AI 기반 건강 인사이트를 결합해 새로운 카테고리를 열었다는 점을 공식 인정받았다. 베스펙스는 '연인, 부부가 함께 더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는 관계형 웰니스'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 중이다. 단순히 캘린더 앱을 만드는 게 아니라, AI 기반으로 현대 커플이 일정·건강·관계까지 모두 아우를 수 있는 종합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것이 회사의 지향점이다. 또 베스펙스의 주력 서비스 시그널링(Signaling)은 지능형 캘린더 기반으로 일정 관리와 건강 추적, 라이프스타일 공유를 하나의 플랫폼에 통합했다. 이미 전세계 2030 커플 사이에서 폭발적인 반응을 얻으며, 출시 10개월 만에 누적 다운로드 40만 건, 월간 활성 사용자(MAU) 18만 명이라는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베스펙스는 이번 CES 참가를 통해 북미·동아시아 시장을 비롯한 전 세계로의 글로벌 진출 청사진을 구체화하고 있다. 베스펙스의 정주원 공동대표는 "한국에서 인정받은 기술력을 글로벌 시장에서 시험할 준비가 됐다"며 "2025년까지 100만 명의 글로벌 사용자와 50만 월간 활성 사용자를 달성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특히 베스펙스가 주목받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여성 호르몬을 비롯한 헬스 데이터를 정밀하게 분석해 AI 기반 디지털 웰니스 플랫폼으로 확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펨테크 시장의 60% 이상이 실제로는 커플 관계 맥락에서 관리되는이슈라는 통찰을 토대로, 단순한 여성 건강 솔루션을 넘어 커플 전체를 아우르는 관계 기술에 집중하고 있다. 그동안 베스펙스 제품 '슈얼리즈(Surearlyz)'와 '슈얼리 스마트(Surearly Smart)' 등의 앱은 배란 테스트 분석과 호르몬 진단 등을 지원해 사용자들의 호평을 받아 왔다. 여기에 시그널링을 통해 커플 일정 및 건강 지표를 종합 관리함으로써, 현대 커플들에게 꼭 필요한 웰니스 파트너라는 이미지를 확고히 했다. 정 대표는 "이번 CES에서 우리 기술에 대한 관람객들의 뜨거운 호응을 확인했다"며 "앞으로도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AI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과 한층 고도화된 개인화 서비스를 선보일 것"이라고 포부를 전했다. 한편, 베스펙스는 이번 CES에서 거머쥔 AI Wellness 111 혁신상을 발판 삼아, 미국·일본을 비롯한 전 세계 핵심 시장을 공략할 예정이다.
    • 뉴스
    • 메디컬
    2025-01-10
  • iHerb, 개인 건강 관리 돕는 디지털 웰니스 허브 플랫폼 론칭
    비타민, 미네랄, 보조 영양제, 기타 건강 및 웰빙 제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소매업체의 대표 기업 iHerb가 웰빙, 피트니스, 영양, 뷰티 등을 위한 온라인 멀티미디어 플랫폼 iHerb Wellness Hub (https://shorturl.at/xUnMV)를 론칭한다고 발표했다. 이 혁신적인 글로벌 플랫폼은 다양한 건강 관련 기사, 요리법, 영상, 팟캐스트 등을 제공해 비타민, 미네랄, 보조 영양제, 허브 및 자연 요법이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이끄는데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관해 소중한 인사이트를 주도록 기획됐다. 14개 언어로 제공되는 iHerb Wellness Hub는 글로벌 커뮤니티가 건강과 웰니스 제품을 선택할 때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종합적이면서 접근하기 쉬운 리소스를 제공한다. 이 플랫폼은 의학자, 자연요법 의사, 의사, 공인 영양사, 그 밖에 헬스케어 업계 리더 등 전문가들이 작성한 1200여 건 이상의 기사를 비롯해 다양한 콘텐츠를 소개한다. iHerb의 닐 폴게이트 글로벌 마케팅 총괄 수석부사장은 “온라인에 오정보가 넘쳐나는 요즘, 건강 관련 콘텐츠를 믿고 볼 수 있는 곳을 찾는 게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iHerb Wellness Hub는 식단, 영양, 장수, 에너지, 신진대사, 그 밖에 전반적인 건강과 관련해 여러 다양한 주제를 객관적이고 연구에 기반해 다루는 콘텐츠를 엄선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소비자들이 자신 있게 정보에 입각해 선택을 내릴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어 뿌듯하다. 우리는 앞으로도 전 세계 웰니스의 발전을 위해 이러한 노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이 선보이는 이 콘텐츠는 개인이 웰빙과 관련해 선택을 내릴 때 믿을 수 있는 정보에 무제한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해주어 건강 여정의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게 지원한다. 미 국립보건원에 따르면, 성인의 약 60%가 온라인에서 출처를 믿을 수 있는 정보를 분간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이러한 플랫폼은 특히나 의미가 크다. iHerb Wellness Hub는 수십 년 동안 회사가 추진해 온, 누구나 어렵지 않게 건강과 웰니스를 누리게 하겠다는 사명에 전념해 요금을 부과하지 않고, 별도의 온라인 프로필을 생성하라고 요구하지도 않는다. 소비자가 특정 비타민의 잠재적인 효능, 필수 미네랄의 중요성, 혹은 자신에게 가장 효과적인 보조 영양제 등 무엇을 알고 싶어하든지, iHerb Wellness Hub는 모든 건강 관련 질문에 대해 신뢰할 수 있는 정보 원천이 돼준다. iHerb Wellness Hub는 2024년 한 해 동안 약 2000만 명의 방문자가 다녀간 iHerb Blog를 대체하게 된다. 새로워진 Wellness Hub는 iHerb의 방대한 블로그 콘텐츠를 체계화해 소비자가 웰니스, 피트니스, 영양, 뷰티로 구분된 방대한 자료를 쉽게 탐색할 수 있다. iHerb Wellness Hub는 수면 관리, 장 건강, 갱년기 관리, 뼈 건강, 탈모 등에 대한 팁을 제공한다. 일부 기사는 테스토스테론 증가를 위한 자연 요법, 건강한 노화 방법, 피부 관리에 도움을 주는 달팽이 점액의 효능 등을 소개한다. 건강 관리를 생각 중인 사람은 누구나 iHerb Wellness Hub를 활용해 개인 건강 관리의 여정을 안내하고 더 낫게 해주는 웰니스 전문가들의 커뮤니티에 참여할 수 있다. 많은 인사이트를 주는 기사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시작하는 법(How to Start a Healthy Lifestyle)’(https://shorturl.at/WbgAB)과 ‘신체 디톡스 하는 8가지 간편 방법(How to Detox your Body in 8 Simple Steps)’(https://shorturl.at/212Ux)은 새해를 산뜻하게 시작하게 해주는 실용적인 방법을 안내한다.
    • 뉴스
    • 메디컬
    2025-01-06
  • 테크아이피엠 이근호 박사, AI 에이전트 기반 디지털 치료제와 디지털 신약 개발 혁신 플랫폼 개발 및 전문서적 출간
    이근호 박사 [웰니스투데이 이민영 기자] 미국 보스턴에 본사를 둔 테크아이피엠의 대표로 활동 중인 이근호 박사가 1년 이상 관련 분야 특허 및 제품 분석을 통해 AI 에이전트 기반 디지털 치료제(Digital Therapeutics, DTx) 및 디지털 신약(Prescription Drug Use-Related Software, PDURS) 혁신 플랫폼에 대한 특허 출원과 초기 개발을 완료했다. 이들 플랫폼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질병 치료 및 치료 약에 대한 기본 아이디어를 입력하면 디지털 치료제와 디지털 신약 개발에 필요한 혁신 청사진을 자동으로 제공하는 발명으로, 의료, 제약 및 헬스케어 분야의 게임체인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디지털 치료제 혁신 플랫폼은 관련 특허, 제품, 혁신의 과제를 심층적으로 연구한 결과다. 이 플랫폼은 AI와 XR 기반 디지털 치료제 솔루션 개발을 더 쉽고 빠르게 만들어 헬스케어 혁신가들을 지원하도록 설계됐다. 이 플랫폼은 복잡한 기술 요구사항과 개인화 도구의 부족이라는 디지털 치료제 개발의 장벽을 해결하고,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솔루션을 제공해 혁신을 접근 가능하고 확장 가능하게 만든다. 자세한 내용은 관련 피치 영상 링크(www.youtube.com/watch?v=iKkzUCTBdng&ab_channel=AlexG.Lee)를 참고하면 된다. 디지털 신약 혁신 플랫폼은 디지털 신약의 일종인 처방약 사용 관련 소프트웨어(PDURS) 혁신 플랫폼으로, 약물 관리, 복약 순응도, 약물 치료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기고 디지털 헬스 기술을 결합해 환자 중심의 통합된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디지털 신약 혁신에 대한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현재 약물 복용 준수와 처방약 사용 관리의 도전 과제는 전 세계적으로 치료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하지만 디지털 치료제와 원격 환자 모니터링(RPM)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처방약 워크플로와의 통합 부족으로 그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디지털 신약 혁신 플랫폼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솔루션이다. 자세한 내용은 관련 피치 영상 링크(www.youtube.com/watch?v=oPqBR4CHYdI&ab_channel=AlexG.Lee)를 참고하면 된다. 현재 기술 및 재정 스폰서를 적극적으로 찾고 있으며, 플랫폼 개발을 가속화하고 이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협력할 파트너를 기다리고 있다. 플랫폼 개발과 함께 이근호 박사는 1년 이상 디지털 치료제 특허, 제품 및 글로벌 스타트업 사업분석을 통해 최근 AI 및 XR 기반 디지털 치료제 혁신 및 글로벌 스타트업을 주제로 한 책들을 출간했다. 먼저 28개국 207개의 주요 디지털 치료제 스타트업을 분석한 ‘글로벌 디지털 치료제 스타트업 옐로북: 글로벌 디지털 헬스 비즈니스 리더를 위한 참고서’의 2024년 4분기판을 펴냈다. 이 책은 상세한 기업 프로필, 혁신적인 제품 및 기술, 최첨단 특허 정보, 투자 유치 세부 사항, 시장 및 고객 분석, 임상 시험, 규제 준수(FDA, DiGA, CE, HIPAA, GDPR 등), 보험 수가 적용 가능성 등에 대한 정보를 다루고 있다. 사업 기회를 모색하거나, 투자처를 찾거나, 의료 혁신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고자 하는 사람들께 유용한 가이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자세한 내용은 관련 책 소개 영상 링크(www.youtube.com/watch?v=OHyyMovTw5I&ab_channel=AlexG.Lee)를 참고하면 된다. ‘AI 및 XR 기반 디지털 치료제 혁신 - 디지털 헬스 전문가를 위한 참고서’도 출간을 앞두고 있다. 이 책은 알츠하이머병, 암, 정신 건강 문제, 자폐증 및 ADHD와 같은 발달 장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건강 상태에서 디지털 치료제가 환자 치료를 어떻게 혁신하고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특허 분석과 실제 사례를 통해 이러한 혁신을 이끄는 기술 발전을 해체하고, 디지털 치료제의 미래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각 장에서는 특정 디지털 치료 혁신을 분석하며, 이러한 돌파구 뒤에 숨겨진 특허를 심층적으로 다룬다. 이 책은 디지털 헬스 전문가들을 위한 필수 참고서로서 설계됐다. 자세한 내용은 관련 책 소개 영상 링크(www.youtube.com/watch?v=0WAxuVHKSW8&ab_channel=AlexG.Lee)를 참고하면 된다. 아울러 책 챕터인 ‘AI 및 XR 기반 디지털 치료 혁신’이 포함된 오픈 액세스 책 ‘디지털 프런티어 - 메타버스 시대의 헬스케어, 교육 및 사회’ 또한 출간됐다. 자세한 내용은 관련 책 다운로드 링크(www.intechopen.com/books/1003957)를 참고하면 된다 . 한편, 이근호 박사는 기술, 사업, 법의 융합전략 전문가로, 전략적 기술/IP 투자, 사업화, 수익화 전문 컨설팅 회사인 테크아이피엠(TechIPm)의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테크아이피엠 본사는 미국 보스턴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근호 박사는 정보통신 및 디지털 기술 분야에서 30년 이상의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AI, 웹3, XR, 헬스테크, 핀테크 분야에서 다양한 기술 개발 및 사업 개발 경험이 있으며, 특히 최근 관심을 끌고 있는 AI 에이전트 및 디지털헬스 분야 전문가로, 관련 특허기술 개발 및 책 저술 경험이 있다. 이근호 박사는 미국 존스홉킨스대학에서 박사 학위(Ph.D.)를, 서픽 로스쿨에서 법학 학위(J.D.)를 취득했으며, MIT 경영대학원 경영자 과정을 이수했다. 또한 미국 변리사 및 뉴욕주 변호사 자격을 보유하고 있다.
    • 뉴스
    • 메디컬
    2024-12-28
  • 웰빙200, 생활 속 경미한 염증 관리에 초점을 맞춘 설포라판 함유 보충제 ‘리바이브 C’ 개발
    3g 스틱 28포로 구성된 ‘웰빙200 리바이브 C’의 내용물 및 패키지 [웰니스투데이 홍수진 기자] 웰빙200(대표 박현준)이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경미한 염증에 주목해 이를 관리하기 위한 보충제 ‘웰빙200 리바이브 C’를 개발했다. 박현준 웰빙200 대표는 “본 제품은 대표적인 항암 성분으로 알려진 십자화과 채소 유래 설포라판과 호중구 감소증 관리를 돕는 미강발효성분을 결합한 보충제로, 두 성분이 갖고 있는 염증을 관리하는 주요 메커니즘을 바탕으로 설계됐다. 특히 설포라판 함량을 표기한 국내 최초의 제품으로 알고 있으며, 소비자가 섭취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웰빙200 리바이브 C’는 개발 과정에서 경기테크노파크의 기술닥터 지원제도를 통해 연구 자문을 받고, 충남 아산 헬스케어스파산업진흥원으로부터 성분 분석 및 제조 공정 관련 자문을 받았다. 이 제품은 설포라판과 미강발효성분의 공통된 염증 관리 메커니즘을 바탕으로 설계됐으며, 생활 속 지속적으로 불편함을 주는 경미한 염증 관리에 관심이 있는 다양한 소비자들을 폭넓게 고려해 개발됐다. ‘웰빙200 리바이브 C’는 ‘웰빙200 코디네이터’ 파트너를 통해 제공되며, 코디네이터 모집은 2025년 1월 시작될 예정이다. 구매 상담과 판매는 코디네이터를 통해 이뤄지며, 현재는 치료 후 회복 관리 중인 암환우와 장기적인 경미한 염증으로 인한 불편함 및 통증 완화에 관심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정 수량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자세한 정보는 웰빙200 공식 웹사이트에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예정이다. 웰빙200 헬스에이징 식품사업부는 암, 치매, 당뇨, 비만, 수면장애 등 주요 생활 건강 문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메디푸드 솔루션을 통해 사회적 건강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자 한다. 박현준 대표는 “초고령 사회이자 세계 최장수 국가로 진입 중인 한국에서는 모든 세대가 함께 건강수명 연장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특히 X세대와 초고령자인 베이비붐 세대가 건강 관리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야 MZ세대와 알파세대가 과도한 사회적 부담을 떠안지 않게 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웰빙200 리바이브 C’는 암 예방에 효과적인 설포라판 성분을 포함해 일상생활 속 경미한 염증 관리를 돕는 다목적 보충제로 설계됐다. 또한 2025년 상반기 출시를 목표로 치매 예방에 중점을 둔 ‘웰빙200 리바이브 D’를 개발해 더 많은 사람들이 신체적·정신적으로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뉴스
    • 메디컬
    2024-12-23

실시간 메디컬 기사

  • 시노펙스, 혈액 분석기 식약처 1등급 진단기 등록
    시노펙스 디지털 이미지 기술을 적용한 혈액 분석기가 식품의약품안전처 1등급 체외 진단기로 등록됐다. 시노펙스는 국책과제로 개발 중인 제품(모델명 Lumiio)이 식약처 자동혈구계산기 품목의 1등급 체외 진단기로 등록(품목허가번호 : 체외제신 24-92호)됐다고 밝혔다.시노펙스는 2022년 산업통상자원부 ‘중견기업상생혁신 사업’ 주관기업으로 선정돼 국립암센터와 함께 혈액진단 시스템 개발을 진행해 왔다.시노펙스가 진행하는 혈액진단 시스템 개발은 혈액분석기와 랩온어칩으로 구성되며, 이번에 등록된 제품은 혈액분석기다.시노펙스가 개발한 혈액분석기는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약 15cm 크기에 1.23kg의 초소형으로, 병원에서 사용이 가능한 전문가용 제품이다.또한 시노펙스는 이번에 등록된 혈액분석기에 사용되는 랩온어칩도 고도화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며, 국책과제에 대한 평가는 올해 1분기 내에 예정돼 있다고 밝혔다.혈구분석기와 랩온어칩 개발이 최종적으로 성공하게 되면 혈액 한 방울(30μL(마이크로리터))로 약 10분만에 혈액진단은 물론 혈액의 형태학적 분석 데이터를 개인 핸드폰으로 전송받을 수 있는 획기적인 시스템이 탄생할 전망이다.기존에는 혈액의 형태학적 분석을 하려면 혈액도말, 고정, 건조, 염색, 세척, 건조 등 6단계의 과정을 거쳐 현미경을 통해 수동으로 관찰하기 때문에 분석자의 능력에 따른 편차가 크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시노펙스는 이번 시스템에 자체 개발한 디지털 이미지 기술을 적용했으며, 시스템이 혈구의 형태학적 분류와 분석 데이터를 현장에서 바로 확인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시노펙스 혈액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혈액 분석 시 일반 혈액검사에서 제공하는 19가지의 분석 데이터가 나오게 되며, 이를 통해 염증질환, 감염, 알레르기 반응, 빈혈, 혈소판 질환, 이상 백혈구, 신장질환 등 다양한 질병을 의료진이 예측 진단할 수 있는 기본 정보를 제공한다.시노펙스 인공신장사업본부 이진태 박사는 “혈액 진단 시스템은 간단한 혈액 분석으로 중증 질병의 조기진단을 통해 국민의 건강 증진과 의료비 절감에 기여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시노펙스는 삼성전자 휴대폰 부품 1차협력 업체로 축적한 IT 기술과 39년간 쌓은 멤브레인 필터기술을 기반으로 혈액투석기, CRRT 기기, 이동형 인공신장기, 이동형 혈액투석 정수기 등 의료기기분야로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 뉴스
    • 메디컬
    2024-01-25
  • 딥슨바이오, 초음파를 사용한 알츠하이머병 치료 임상 결과 미국에 소개
    뇌질환 치료를 위한 초음파 의료기기를 개발하고 있는 딥슨바이오의 알츠하이머 치료 임상 결과가 미국에 소개돼 향후 미국에서의 임상 및 라이선스 아웃 기회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딥슨바이오와 함께 초기 알츠하이머병 초기환자를 대상으로 초음파 임상 치료를 수행한 한림대 동탄성심병원의 김재호 교수는 ‘저강도 초음파 치료 후 전구성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 아밀로이드 축적상태침전물 변화’라는 제목의 연구 결과 포스터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북미뉴로모듈레이션학회(NANS, North American Neuromodulation Society) 연례미팅에서 발표했다.북미뉴로모듈레이션학회는 1994년 발족된 미국 중심의 학회로, 2000명 이상의 회원을 두고 있다. 뉴로모듈레이션은 약을 사용하지 않는 치료의 일종으로 미세한 전기 또는 자기장을 이용해서 뇌기능을 조절하는 기술을 뜻하며, 우울증, 불안장애, 불면, 두통 등이 주요 적응증이다. 국제모듈레이션학회가 불과 30년 전에 발족했을 정도로 뉴로모듈레이션은 새로운 치료 방식이며, 앞으로 보다 많은 분야에서 치료를 위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딥슨바이오는 동탄성심병원과 함께 약 6개월간 250kHz의 낮은 주파수 초음파를 사용해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해 기억력이나 주의력 등과 같은 인지능력이 떨어진 초기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치료를 실시했다. 그리고 인지능력 개선 효과를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본인이나 환자 보호자에 대한 설문이 아닌 숫자를 순서대로 연결하는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지를 측정하는 기호잇기검사(TMT)를 통해 확인했다. 그 결과, 숫자를 연결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상당히 줄어드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치료 후에는 뇌의 활동이 보다 활발해지고, APOE4(알츠하이머병 유발 관련 유전자)를 보유한 환자의 경우 치매 증상의 원인으로 알려진 뇌 속의 노폐물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와 같은 효과에도 불구하고 뇌부종, 미세출혈과 같은 부작용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특히 치료 효과가 상대적으로 왕성한 사회활동을 하는 젊은 층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는 점도 고무적이었다.이 같은 임상 결과는 대한치료초음파학회에서 상세하게 소개했고, 인지중재치료학회에서 내용이 발표됐으며, 대한치매학회에서도 포스터 발표를 통해 국내 여러 관련 연구자 및 기관에 공유했다. 특히 이번 북미뉴로모듈레이션학회를 통해 임상 결과를 처음으로 해외에서 소개하게 됐으며, 이는 국내뿐 아니라 알츠하이머 치료 시장이 가장 큰 미국에서 성공적인 임상 결과를 소개하고 글로벌 진출의 첫걸음을 내디뎠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딥슨바이오는 밝혔다.이동혁 딥슨바이오 대표이사는 “초음파로 알츠하이머를 치료하려는 시도는 여러 차례 있었으나 그 결과를 주로 설문에 의존했고, TMT와 같은 정량화된 객관적 평가지표를 사용한 사례는 없었다. 이번 임상 결과는 초음파를 통해 정량화된 인지능력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 뇌의 대사활동 향상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본다. 또한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허가를 받은 치매 치료제에서 부작용이 문제가 된 APOE4(알츠하이머병 유발 관련 유전자) 보유 환자에게서 오히려 치료 효과가 더 명확히 나타났다는 점에서 부작용 없이 초기 치매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딥슨바이오는 이번 발표를 기반으로 미국의 많은 알츠하이머 연구자, 임상의 및 기업에 임상 결과를 소개하고, 글로벌 진출에 보다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 뉴스
    • 메디컬
    2024-01-24
  • 미국, 대마(마리화나) 의학적 용도 고려해 규제 등급 완화할까
    미국 복지부와 식품의약국(FDA)이 대마(marijuana , 마리화나)에 대한 규제 수준을 낮춰야 한다는 의견을 지난해 마약단속국(DEA)에 공식 제출한 바 있으며 그 문서가 최근 공개된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바이오협회가 최근 소개한 미국내 대마 규제 동향 보고에 따르면, 이러한 흐름은 바이든 대통령이 ‘22년 10월 행정명령을 통해 보건복지부에게 대마에 대한 모든 연구를 조사하고 대마를 연방 통제 목록 내에서 변경 또는 제외해야 하는지 검토하라고 지시했고 이에 따른 후속 조치가 뒤이어졌던 것으로 알려졌다. 미 보건복지부는 FDA의 검토의견을 토대로 ’23년 8월 마약단속국에 대마를 1등급(Schedule I)에서 3등급(Schedule III)으로 낮춰야 한다는 의견과 함께 관련 근거 자료를보냈으며 이 공문과 근거자료가 최근 공개된 것이다. 보고에 의하면, 현재 미국 법무부 산하 마약단속국에서는 대마를 1등급 통제리스트로 관리하고 있으나, 보건복지부와 FDA는 남용 가능성, 의학적 유용성 등과 이를 뒷받침할 과학적 증거를 제시하며 3등급으로 낮춰야 한다는 의견을 내고 있다. 마약단속국은 남용가능성, 의학적 용도, 안전성 및 중독성 등을 종합 고려해 대마 통제 수준 변경 여부를 몇 달 내에 결정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 결정을 법무부에 제출하면 법무부장관은 통제 수준 변경에 대해 최종 결정을 내리게 된다. Schedule I → Schedule III 통제등급 변경의 의미 미국에서 대마는 지난 60년 동안 통제물질법(Controlled Substances Act)에 따라 헤로인 등과 같이 Schedule I 약물로 분류되었으며 이는 “남용 가능성이 높고 의학적 용도로 허용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에 비해 Schedule III 약물은 “신체적, 정신적 의존성에 대한 가능성이 중간 정도에서 낮음”으로 분류되고, 케타민, 테스토스테론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구분 기대효과 의학적 활용도 제고 대마의 의학적 연구에 대한 제한이 완화되고 사용이 합법화되어 의학적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 세금 혜택 현재 Schedule I 및 II 물질에만 적용되는 국세청 코드 280E에 의해 부과되는 징벌적 과세로부터 대마초 산업이 벗어날 수 있음. 대마 산업의 막대한 세금부담이 완화되어 가격 경쟁력을 더욱 높여 소비자에게 이익을 줄 수 있고, 규제 시장과 비규제 시장 간의 비용 격차를 축소할 가능성이 높아 미국의 불법 대마초 시장을 줄이는데 기여 제조, 유통, 판매 및 소지의 합법성 제조, 유통 또는 소지에 대해 거의 절대적인 기준이 적용되는 Schedule I 물질에서 벗어나게 되면 기업은 Schedule III 물질을 합법적으로 제조, 유통 또는 판매 가능 의료용 대마 사용자의 권리 보호 현행 규정에 따르면, 의료용 대마를 처방받은 사람은 총기를 소유하거나 소지할 수 없으며 취업할 때 불이익을 당함. 그러나 통제기준이 완화되면 한때 “범죄행위”였던 것이 합법적인 활동이 됨 대마와 대마성분(칸나비디올, CBD)이 산업적으로 관심을 끄는 이유는 칸나비디올(CBD)은 대마(마리화나) 식물에서 발견되는 자연 발생 칸나비노이드 중 하나로 대마 식물(Cannabis sativa L.)에는 delta-9-tetrahydrocannabinol(THC)와 CBD가 가장 흔한 형태로 존재한다. 대마 추출물 등을 포함한 CBD 성분에는 매우 낮은 수준의 THC가 포함되어 있고 이들 성분이 스트레스 완화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해서 최근 전 세계적으로 식품, 음료, 식품첨가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현재 미국은 대마와 대마성분(칸나비디올, CBD)을 1등급으로 통제 2018년 농업개선법(Agricultural Improvement Act)을 통해 0.3% 미만의 THC를 함유한 대마를 농산물(Agricultural commodity)로 법제화하면서 식품 용도로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미국 FDA는 2018년 6월 처음으로 영국의 GW Research社가 개발한 대마초의 CBD 기반 에피디올렉스(Epidiolex)를 의약품으로 허가했다. 에피디올렉스는 Lennox-Gastaut(레녹스-게스토) 증후군, 결절성 경화증 복합체 또는 Dravet 증후군의 발작을 치료하도록 승인된 대마 기반 FDA 최초 승인 약물이다. CBD는 통제물질법 1등급으로 분류되는 대마의 성분이기 때문에 1등급 물질로 분류되며 CBD 기반의 최초 약물인 Epidiolex 허가를 신청하기 위해서 CBD의 남용 가능성에 대한 비임상 및 임상 시험을 수행한다. 또한, FDA는 허가시 해당 CBD 약물에 대한 의학적 및 과학적 분석자료와 규제 등급에 대한 권고의견을 보건복지부를 통해 마약단속국에 제출한다. 한편, FDA는 현재까지 의약품 이외의 식품 등에 대해서는 CBD의 안전성 평가에 대한 이해가 제한적이라 허가에 신중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원칙적으로는 FDA 허가 없이 판매되는 CBD 함유 제품들은 모두 불법이나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CBD 함유 식품들을 모두 단속하기 어렵고 또 단시간에 부작용 등 안전성 연구가 충분히 될 수 있는 것도 아닌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현재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마약류관리법)에 근거해 대마의 수출입, 제조, 매매 등을 규제하고 있고 대마의 산업적 활용이 제한되고 있다. 향후 미국의 통제물질법에서 대마의 규제 등급을 최고 등급인 1등급에서 3등급으로 완화한다면 우리나라에서도 규제 완화에 대한 목소리가 커질 수 있다. 현재 세계적으로 대마를 활용한 시장이 급속히 커지고 있고, 나라마다 대마 관련 규제가 서로 다르게 정립 중에 있는 상황에서 기업들은 큰 비즈니스 기회로 다가올 수 있는 대마 관련 시장과 규제 환경 변화를 관심있게 모니터링 하고 있다.
    • 기획 Feature
    • 트렌드
    2024-01-22
  • 히스토소닉스의 Edison® 히스토트립시 시스템 사용해 세계 최초로 신장 종양 치료
    비침습적 플랫폼이자 새로운 소닉 빔 치료법인 히스토트립시의 개발업체인 히스토소닉스(HistoSonics, Inc., www.histosonics.com)가 자사의 중대한 #HOPE4KIDNEY 임상시험에서 최초 환자를 치료했다고 오늘 발표했다. FDA는 지난해 초 이 임상시험용 의료기기 연구를 승인했으며, 이는 바늘을 사용하거나 절개할 필요 없이 완전히 비침습적으로 표적 신장 종양을 파괴하는 획기적인 에디슨(Edison®) 시스템의 안전성과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HOPE4KIDNEY 임상시험은 다기관, 오픈 라벨, 단일군 임상시험으로 최대 68명의 환자를 등록할 계획이다. 이 시술은 오스체올라 카운티의 애드번트헬스 셀레브레이션에서 로봇을 포함한 첨단 비뇨기과 시술의 리더이자 선구자인 비뇨기과 전문의 마이클 맥도날드 의학박사(Michael McDonald M.D.)가 수행했다. 맥도널드 박사는 “1990년대에 외과의 생활을 시작했을 때만 해도 개복 수술이 주된 의료 수술 방식이었지만, 1990년대 후반 복강경 수술이 도입되고 2000년대 초반 로봇 수술이 도입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히스토트립시 같은 신기술이 환자의 안전과 결과를 개선할 수 있는 잠재력에 큰 흥미를 느낀다”고 밝혔다. 이 시술은 애드번트헬스 연구소(AdventHealth Research Institute)의 후원으로 실시되었고, 이 연구소에서는 현재 의사와 연구자들이 650건 이상의 연구와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애드번트헬스 셀레브레이션은 로봇 수술의 허브로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최신 기법과 기술 분야에서 전 세계적으로 환자를 치료하고 외과의사를 교육하고 있다.2020년 미국의 신장암 및 신우암 환자가 62만8355명으로 추산되며, 2023년에는 8만1000명이 추가로 신장암으로 진단될 것으로 예상된다[1]. 신장 부분절제술(partial nephrectomy) 및 열 소작술(thermal ablation)과 같은 현재의 신장 치료법은 침습적이며, 출혈과 감염으로 인한 합병증을 보이지만 비침습적 히스토트립시를 사용하면 이를 피할 수 있다. 신장 종양 제거에는 외과적 수술이 ‘골드 스탠다드’이지만, 히스토트립시를 통한 비침습적 접근법은 비표적 신장 조직을 손상시키지 않고 표적 종양을 파괴할 수 있는 잠재력을 제공한다. 또한 히스토트립시의 순수하게 기계적인 세포 파괴 메커니즘은 신장의 소변 수집 시스템 기능을 보존할 수 있다.히스토소닉스의 사장 겸 최고경영자 마이크 블루(Mike Blue)는 “맥도날드 박사와 애드번트헬스 셀러브레이션 팀이 #HOPE4KIDNEY 임상시험의 첫 환자를 치료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우리의 목표는 의사들이 새로운 비침습적 솔루션으로 신장 종양을 정확하게 표적화 및 파괴하여 현재의 침습적 수술이나 절제 기술에서 나타나는 이환율과 합병증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회사는 초기 1상 신장 연구인 CAIN 임상시험에서 얻은 주요 교훈과 #HOPE4KIDNEY 임상시험 동안 에디슨 플랫폼을 통한 기술적 개선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히스토소닉스의 이미지 유도 소닉 빔 치료 시스템은 고급 이미징 및 독점 감지 기술을 사용하여 정밀하고 제어 가능한 비침습적인 개인 맞춤형 치료를 제공한다. 히스토트립시의 과학은 집속 음향 에너지를 사용하여 제어된 음향 캐비테이션을 생성하고 세포 이하 수준에서 표적 조직을 기계적으로 파괴하고 액화시킨다. 이 회사는 독점 기술의 새로운 작용 메커니즘이 치료 부위의 빠른 회복과 재흡수 능력을 비롯해 환자들에게 상당한 이점을 제공한다고 믿고 있다. 또한 히스토소닉스의 플랫폼은 의사에게 지속적인 실시간 시각화 및 제어를 통해 조직의 파괴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는 현재 존재하는 어떤 방식과도 다르다.에디슨 시스템은 히스토트립시를 통해 절제 불가능한 간 종양의 부분 또는 전체 파괴를 포함하여 간 종양의 비침습적 기계적 파괴를 위해 고안된 제품이다. FDA는 에디슨 시스템을 특정 질병이나 질환의 치료제로 평가하지 않았다.에디슨 시스템을 신장 분야에 사용하는 것은 연방법에 따라 임상시험용으로 제한된다. #HOPE4KIDNEY 임상시험은 향후 신장 조직/종양 파괴를 포함하도록 적응증 확장을 추가로 지원할 것으로 기대된다.[1] SEER Statfacts 2020
    • 뉴스
    • 메디컬
    2024-01-11
  • 정관장 활기력 ‘톰과 제리’와 컬래버… 활기력 슈퍼히어로박스 출시
    정관장이 워너브라더스(Warner Bros.)의 인기 애니메이션 캐릭터인 ‘톰과 제리’와 컬래버한 ‘활기력 슈퍼히어로박스(톰과제리편)’를 선보였다. ‘활기력 슈퍼히어로박스’는 ‘정관장 활기력’과 창사 100주년을 맞은 세계적인 콘텐츠 제작사 워너브라더스(Warner Bros.)의 DC코믹스 슈퍼히어로를 활용한 제품으로, 에너지 충전이 필요한 순간 빠르게 활력을 충전하는 컨셉의 카카오톡 선물하기 전용 한정판 에디션이다.정관장은 5월 배트맨·슈퍼맨·플래시 캐릭터를 입힌 ‘활기력 슈퍼히어로박스’를 선보인 바 있다. ‘활기력 슈퍼히어로박스’는 출시 두 달 만에 3만세트 물량이 모두 완판되며 큰 호응을 얻었다.이번에 출시한 ‘활기력 슈퍼히어로박스(톰과제리편)’는 슈퍼맨 복장을 한 톰과 제리가 도심 속 추격전을 벌이는 장면을 패키지 디자인으로 익살스럽게 표현한 점이 특징이다. 활기력(20㎖) 20병과 함께 동봉된 톰과 제리 스티커는 휴대폰케이스, 노트북 등 다양한 소품을 꾸미는 데 활용할 수 있다.‘활기력’은 6년근 홍삼농축액에 생강, 대추, 구기자, 오미자, 황기 등 전통소재와 비타민 B, C를 배합한 앰플형 건강 드링크로, 한 병 섭취만으로 기력을 보충할 수 있어 젊은층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제품이다.최근에는 간편함과 맛은 물론 재미요소까지 담아낸 ‘활기력부스터 엔진 SET’, ‘활기력 에너지박스’, ‘활기력 JOY’ 등이 카카오톡 선물하기에서 돌풍을 일으키면서, 대세 모바일 건강선물로 자리매김했다.
    • 뉴스
    • 메디컬
    2024-01-03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