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웰니스, 효능, 그리고 신뢰 혁명
[기획-트렌드] 2025 글로벌 웰니스 산업 동향 (3) 건강 보조제의 역설
- 웰니스, 효능, 그리고 신뢰 혁명
[웰니스투데이 편집자 주] 글로벌웰니스연구소가 2025.1.28에 발표한 글로벌 웰니스 산업 10대 동향을 한 파트씩 정리해 드립니다.
3. 건강 보조제의 역설 The Supplement Paradox
- 웰니스, 효능, 그리고 신뢰 혁명
건강 보조제는 1,780억 달러 규모의 거대한 시장으로 지속 성장 중입니다. 약국 선반 한켠에 초라하게 놓여 있던 건강 보조제가 이제는 문화의 중심 아이콘으로 자리를 잡았습니다.
화려해진 포장, 셀러브리티들의 광고, 수천 달러에 달하는 가격표가 말해주듯 지금은 지위를 상징하는 제품이 되었습니다.
건강보조제 시장은 사실 오랫동안 느슨한 규제, 그리고 이른바 사이언스 워싱(science washing), 즉 소비자 신뢰를 얻기 위해 과학적 용어로 과대 포장하는 문제를 둘러싸고 늘 논란에 시달려 왔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건강 보조제의 효능과 가치에 대한 인식이 크게 달라지고 있습니다. 바로 과학의 덕택입니다.
최근의 건강보조제는 과학의 급속한 발달 속에서 더 고급화가 되고, 개인맞춤형 포뮬레이션과 세포 챠원의 장수(longevity) 건강에 초점을 맞추는 등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보다 정밀하게 대응하는 방식으로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바이오마커와 유전자 검사, 인공지능을 통한 예측 기술이 적용된 개인맞춤형 혹은 적응형 처방이 등장하면서 기존의 과다성 이슈 (= 과다할 경우 잠재적으로 유독할 수도 있음)나 비효율성 논란이 크게 감소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Thorne HealthTech의 Onegevity 플랫폼과 InsideTracker는 바이오마커, 유전자 및 라이프스타일 데이터를 분석하여 맞춤형 포뮬레이션을 제공합니다.
장수과학(longevity science) 부문에서는 미토콘드리아 건강, 텔로미어 보존, 세포 복구와 같은 핵심 노화 메커니즘을 목표로 하는 보조제들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NAD+ 부스터나 '좀비' 세포를 제거하는 세놀리틱(senolytics) 같은 제품이 대표적입니다.
데이비드 베컴의 신생 브랜드 IM8은 프리네틱스(Prenetics)사와 옥스퍼드대학교를 파트너로 삼아 국제우주정거장에서의 우주 가속 노화 연구를 바탕으로 독창적이고 과학적으로 검증된 장수 보조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첨단 과학에 기반한 보조제들은 점점 더 다양하고 세분화된 수요에 대응해 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GLP-1 동반 보조제는 오젬픽(Ozempic) 복용시 발생하는 근육 손실, 영양 불균형, 소화불량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Elo Health의 GLP-1 제품이 이러한 예입니다.
여성의 독특한 생리적 요구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춘 제품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호르몬 건강과 생식 능력을 목표로 하는 혁신제품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폐경 관리도 진화 중입니다. Morrama Labs의 Luma 앱은 폐경 중 체온, 심박수, 스트레스 및 수면 데이터를 수집하여 매월 3D 프린팅으로 맞춤형 약물을 제공합니다.
보조제와 관련된 지금의 트렌드는 또 미세 플라스틱, 중금속, 오염 물질 등을 제거하고 영양 흡수를 방해하는 요소들을 해독하는 영역에까지 이르고 있습니다.
나아가 나노기술를 바탕으로 한 정밀성 강화로 특정 조직이나 장기를 겨냥하는 기법들도 소개되고 있습니다.
이렇듯 최근의 과학기술은 건강 보조제와 의료 치료 사이의 간극을 메우고 있습니다.
[정리 / 폴 송 - 웰니스투데이]